가이드
스톡옵션 부여 취소
스톡옵션 부여 취소는 언제 가능한가요?
-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사람이 본인의 의사로 사임한 경우
-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사람이 고의 또는 실수로 회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힌 경우
- 기타 스톡옵션 부여 계약서에 기재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스톡옵션 부여 후 취소, 법적 분쟁이 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스톡옵션 부여 취소는 등기 사항이 아니라서 이사회 결의만 하면 끝나요. 이사회가 없다면 주주총회에서 결의하시면 되어요. 스톡옵션 부여를 취소할 때마다 이사회 소집 및 결의하는 과정이 번거롭다 보니 보통 1년에 1번, 또는 상반기, 하반기 1회씩 정기적인 일자를 정해서 한번에 부여 취소 결의를 해요.
ZUZU에서 스톡옵션 부여 취소 결의하기
1. 홈 화면에서 새로운 주주총회·이사회·등기를 클릭하세요.
2. 스톡옵션 부여 취소를 선택하세요.
3. ‘부여 취소할 스톡옵션 선택’ 버튼을 클릭하세요.
4. 스톡옵션 부여를 취소할 권리자를 선택 후 취소사유를 입력하신 뒤 추가 버튼을 눌러주세요.
5. 결의 일정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와요. 상법과 정관에 맞게 설정된 일정 그대로 두어도 되고, 수정하셔도 되어요.
6. ‘입력 완료’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7. 의결에 필요한 문서들이 간단하게 생성되었어요! 이사회(혹은 주주총회) 의사록을 클릭해 참석 및 의장, 찬성 인원을 입력해주세요.
8. 날인까지 완료된 이사회 의사록을 의결 반영 페이지에 업로드하신 뒤, ‘의결 반영’ 버튼을 클릭하시면 끝!
스톡옵션 부여 취소 후, 챙겨야 할 것
회사에서 직접 스톡옵션을 관리하면 부여 취소할 때마다 부여 가능 수량이 얼마나 복구됐는지, 어떤 권리자의 스톡옵션이 취소되었는지 담당자가 매번 관리해야 해서 번거로워요.
ZUZU에서 스톡옵션 자동 관리를 하면 따로 신경 쓸 필요가 없어요. 취소된 스톡옵션 수량만큼 부여 가능 수량이 자동으로 복구되고, 스톡옵션 부여 내역을 통해 부여 취소 기록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거든요.
ZUZU 비즈니스 요금제 구독하고, 간편하게 스톡옵션 자동 관리받으세요!
* 법률 상담 및 등기 대행, 세무 상담은 파트너사를 통해 진행되며 ZUZU는 어떠한 수수료도 취하지 않습니다.
똑·똑·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