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R자료, 피치덱, 투자제안서… 뭐가 다르고, 먼저 뭐부터 준비해야 할까?
스타트업 IR 자료 작성이 막막하다면? 피치덱과 투자제안서와의 차이부터 실전 준비 순서까지 정리한 가이드를 확인하세요.

초기 스타트업이 IR 자료 준비할 때 꼭 들어가야 하는 7가지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IR 자료 작성 가이드! 투자자가 진짜로 궁금해하는 핵심 7가지 항목과 실전 팁을 사례 중심으로 짚어드립니다.

IR자료 노하우 - 투자 혹한기, 스타트업이 살아남는 법
현재 투자 시장의 보수적인 흐름 속에서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를 성공적으로 이루려면, 명확한 시장 분석, 데이터 기반 전략, 실행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고 이를 IR 덱을 통해 효과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필수적이예요.

IR자료 노하우 - VC가 선택하는 스타트업 IR자료 작성의 비밀
투자 유치와 IR 자료 준비는 결코 감각적으로 접근해서는 안 됩니다. IR 자료의 4가지 핵심 원칙을 알아보겠습니다.

IR자료 노하우 - IR, ‘정보 전달’을 넘어 ‘설득’의 무대로
IR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투자자를 설득하는 과정이며, 문제 정의 → 솔루션 → 실행 전략을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팀의 역량과 비즈니스 모델의 현실성을 명확히 제시하여 투자자가 "이 회사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를 확신하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이죠!

IR자료 노하우 - TAM과 SOM, 스타트업 시장 전략과 전술의 모든 것
투자유치에서 상당히 중요한 TAM(Total Addressable Market)과 SOM(Serviceable Obtainable Market)의 균형을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회사에 투자하시겠습니까?
광자 기반 슈퍼컴퓨터 스타트업 루미너스 컴퓨팅의 시리즈 A 피치덱을 통해 대규모 자금 조달 전략, 미래 예견 아이디어의 담대함, 그리고 인과관계와 상관관계의 오류를 짚어볼게요.

초기 스타트업 IR 플레이북 - Conclusion
창업자가 해야 할 일은 목표로 하는 산업/시장에 새로운 아젠다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 바로 창업자의 '고유한 관점'이다.

초기 스타트업 IR 플레이북 - Remarkable Points
원대한 비전을 가진 강력한 팀이 궁극적으로 매력적인 시장을 지향할 수 있어야 진짜 매력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구현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