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유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투자 유치 프로세스 백서> 무료 다운로드

세일포인트 공개매수 후 재상장, 토마브라보는 왜 이런 전략을 택했을까?

작성일: 2025년 2월 13일
·
최근 수정일: 2025년 2월 18일
·
읽는데 걸리는 시간: 약 2분
프로필
CapitalEDGE
테크 + 벤처 + 투자 뉴스레터
기업 성장에 힘이 될 콘텐츠를 빠르게 받아보세요!
#총보상 #투자유치 #주주총회 #법인운영
구독하기

토마브라보 플레이북의 대표 사례, 세일포인트

https://res.cloudinary.com/zuzu-homepage/image/upload/f_auto,q_auto/v1739453859/qwmgehftcmzwfyiruml3.png

소프트웨어 바이아웃의 강자인 사모펀드 토마브라보가 2022년 8월 공개매수를 완료, 상장 폐지되었던 아이덴티티 보안 업계의 강자 세일포인트가 불과 2년 반도 지나지 않은 2025년 1월 17일, 또다시 S-1을 제출하며 상장을 공식화하였습니다.

토마브라보가 세일포인트에 처음 투자한 시점은 2014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당시 라이트스피드파트너스 등 벤처캐피탈의 자금을 바탕으로 고속 성장을 거듭하던 세일포인트는 IPO 대신 사모펀드로의 매각을 선택, 토마브라보를 대주주를 맞이합니다.
  • 2017년 세일포인트를 뉴욕 증시에 상장시킵니다. 상장 이후 주가가 고공 행진을 하자 토마브라보는 1년 만에 지분을 모두 매각합니다.
  • 2022년 토마브라보는 세일포인트에 대한 공개매수를 진행, 상장 폐지를 단행합니다. 당시 기업가치는 $6.9Bn에 달했습니다.
  • 그리고 2025년 또다시 증시 복귀를 타진합니다. 이번 상장에서 토마브라보는 $11.5Bn 이상의 기업가치를 원하고 있습니다.

https://res.cloudinary.com/zuzu-homepage/image/upload/f_auto,q_auto/v1739453879/hfaosm0etjtheigrrjsz.png

공개매수와 PEF 경영권 보유 기업의 상장이 활발하지 않은 한국 시장의 관점에서 볼 때 토마브라보를 위시한 미국의 대형 PEF들이 상장 시장을 활용하는 모습은 다소 생소합니다. 상장 및 공개 매수 거래 때마다 따라붙는 수백 억 원의 비용만 고려하더라도 상장 폐지와 재상장을 반복하는 모습이 의아하기도 합니다.

토마브라보는 이러한 빈번한 상장과 상장폐지를 PEF의 가치 실현 전략이라고 강조합니다. 기업 가치가 충분히 상승했다고 판단될 때 상장을 통해 투자 수익을 실현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할 때는 다시 비상장 기업으로 전환해 과감한 투자와 M&A를 단행합니다. 세일포인트의 사례는 이러한 PEF의 전략이 얼마나 효과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오늘 Deep Dive에서는 세일포인트의 S-1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공모주 투자 관점에서는 벤처투자에 바탕한 고성장 기업 대비 큰 관심을 받지 못하지만, 세일포인트는 미국 비상장 투자의 또 다른 축인 PEF의 투자 전략과 가치 실현 과정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기업 성장에 힘이 될 콘텐츠를 매주 받아보세요!

구독하기
* 본 웹사이트는 코드박스를 소개하고 코드박스가 취급하는 서비스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법률적 자문이나 해석을 위해 제공된 것이 아닙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과 관련하여 본 웹사이트의 접속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일체의 직ㆍ간접적 손해에 대하여 코드박스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아니하며,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에만 기초하여 어떠한 행위를 하는 것은 법률적 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므로,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의문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들은 코드박스의 사전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도 재생, 복사, 배포될 수 없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회사 등록 후 최신 법인등기부등본 무료 발급

빠르고 정확하게 업무 부담을 줄여드릴게요!
기업 성장에 모든 시간을 쏟으세요

프로필

CapitalEDGE(테크 + 벤처 + 투자 뉴스레터)

CapitalEDGE는 글로벌 테크산업, 벤처투자 및 스타트업 소식에 ‘관점’과 ‘인사이트’를 담아 전하는 비즈니스 전문 뉴스레터입니다.

에디터 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