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유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투자 유치 프로세스 백서> 무료 다운로드

IR자료 노하우 - IR, ‘정보 전달’을 넘어 ‘설득’의 무대로

작성일: 2025년 2월 18일
·
최근 수정일: 2025년 2월 19일
·
읽는데 걸리는 시간: 약 7분
프로필
김나라
UPRIGHT CONSULTING 대표
기업 성장에 힘이 될 콘텐츠를 빠르게 받아보세요!
#총보상 #투자유치 #주주총회 #법인운영
구독하기

IR(투자유치)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투자자를 설득하는 무대입니다. 많은 창업자가 IR을 사업계획서를 좀 더 세련되게 꾸미는 작업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지만, IR의 본질은 단순한 자료 정리가 아니라 투자자의 신뢰를 얻고 자금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https://res.cloudinary.com/zuzu-homepage/image/upload/f_auto,q_auto/v1739877165/bjscevblizvdwy4vpg3o.jpg

IR의 본질: 정보를 넘어 설득으로

IR은 단순히 사업의 개요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이 회사가 반드시 성공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투자자가 확신하도록 만드는 과정입니다.
투자자가 원하는 것은 단순한 정보가 아닙니다. 그들이 궁금해하는 핵심 질문은 “왜 이 회사에 투자해야 하는가?”입니다. 이를 설득력 있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① 문제 정의(Problem) → ② 해결책(Solution) → ③ 실행 전략(Strategy)이 명확한 논리적 흐름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한 설명이 아니라, 이 사업이 고객과 시장, 나아가 투자자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명확히 전달하는 것입니다.

1. IR의 목적을 명확히 설정하기

IR 자료를 작성하기 전, IR의 목적을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목적에 따라 전달해야 할 정보의 초점과 메시지의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IR의 목표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 투자 유치(자금 조달)를 위한 것인가?
  • 후속 미팅(Additional Meeting) 및 네트워킹을 유도하는 용도인가?
  • 파트너십 확보를 위한 것인가?

목적이 명확하지 않으면, 우리가 전달하고 싶은 내용과 투자자가 듣고 싶은 내용이 엇갈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IR 자료를 구성하기 전에 투자자 관점에서 어떤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를 철저히 분석하고, 이에 맞춰 메시지를 설계해야 합니다.

2. 설득을 위한 핵심 구조: 문제 → 솔루션 → 실행 전략

문제(Pain Point)에서 시작하기

“우리는 왜 존재해야 하는가?”

“현재 시장에서 어떤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얼마나 시급한가?”

IR의 시작은 시장과 고객이 겪는 실제 문제(Pain Point)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입니다.

투자자는 단순한 사회적 문제(예: 기후 변화, 고령화 등)가 아니라, 실제 고객이 직면한 구체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습니다.

  • B2B 솔루션이라면, 산업 내 비효율성이나 비용 부담이 발생하는 구체적 사례를 제시해야 합니다.
  • B2C 서비스라면, 고객이 경험하는 불편함을 수치나 사례로 보여주어야 합니다.
예시

비효율적인 문제 제시

“전 세계적으로 병원 운영의 효율성이 낮습니다.” (X)

투자자가 공감할 수 있는 문제 정의

“국내 병원의 평균 대기 시간이 1시간 이상이며, 응급실의 경우 환자당 4시간 이상의 대기 시간이 소요됩니다.” (○)


실제 데이터와 사례를 활용해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투자자는 이 문제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필요성을 공감하게 됩니다.

솔루션을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문제가 명확하게 정의되었다면, 이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합니다. 그러나 많은 창업자가 솔루션을 지나치게 기술적으로 설명하거나, 기능 나열에만 집중하는 실수를 합니다.

https://res.cloudinary.com/zuzu-homepage/image/upload/f_auto,q_auto/v1739877123/fqa8kbzahquq1eqauq1w.jpg

투자자는 기술 자체보다, 그 기술이 만들어내는 ‘비즈니스 가치’에 관심이 있기 떄문에,
솔루션 페이지에서는 기능 설명에만 집중하지 말고, 제품(혹은 서비스)의 형태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텍스트 중심의 설명이 아니라, 제품의 실제 사용 장면을 보여주는 이미지, 시각 자료, 또는 간단한 모형(Prototype)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텍스트보다 이미지, 그래프, 프로토타입(Prototype)을 활용해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
  • 제품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Before & After 비교 방식으로 제시

또한 솔루션이 고객에게 주는 실질적 이익을 명확이 제시해야 합니다.

  • 비용 절감: 기존 대비 운영 비용이 얼마나 줄어드는가?
  • 효율성 향상: 업무 시간이 얼마나 줄어드는지?
  • 매출 증대: 수익성이나 생산성이 얼마나 개선되는가?

이러한 구체적인 수치와 데이터를 제시하면 투자자의 신뢰도가 더욱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이 솔루션 도입 시 예술가들의 평균 연봉이 214만 원에서 400만 원으로 증가합니다.” “병원이 이 서비스를 활용하면 연간 50억 원 이상의 추가 매출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정량적 근거를 제시하면 투자자는 솔루션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 비즈니스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신뢰할 수 있습니다.

3. 실행 전략과 비즈니스 모델

투자자가 가장 궁금해하는 핵심 질문은 “비즈니스모델을 통해 이 사업이 실제로 돈을 벌 수 있는가?”입니다. 단순히 “제품을 판매해서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는 설명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B2B, B2C 고객을 각각 어떻게 공략할 것이며, 어느 시점까지 몇 명의 유저를 확보할 것인지, 그리고 해당 유저가 연말까지 몇 배로 성장할 것인지 구체적인 목표와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구체적인 목표 수치를 포함하라
  • B2B 모델: 주요 고객군, 계약 방식, 단가 구조, 고객사당 연간 매출 예상
  • B2C 모델: 고객당 LTV(Lifetime Value),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구독 또는 결제 모델
  • 마켓플레이스/플랫폼 모델: 거래 수수료, 광고 수익, 부가 서비스 매출 등

예를 들어, “올해 상반기 내에 1,000명의 유료 고객을 확보하고, 연말까지 5,000명으로 확대하여 연매출 10억 원을 달성할 계획입니다.”라고 구체적인 수치를 포함하면 보다 설득력이 높아집니다.

또는, 글로벌 시장 진출 계획이 있다면, “이미 미국과 싱가포르에서 파트너사를 확보했으며, 연내 진출을 목표로 협업을 진행 중입니다.” 이미 확보한 네크워크나 진행중인 사례를 함께 제시하면 신뢰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수익 창출의 현실성과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므로, 구체적인 전략과 실행 계획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4. 팀의 역량을 강조하기 - ‘겸손 모드’는 잠시 꺼두세요

우리나라 대표님들은 보통 겸손해서 팀 페이지를 짧게 휙 넘기는데, 실제로는 “이건 우리팀이 잘할 수밖에 없습니다.”라는 근거를 제시하는 절호의 구간입니다. IR에서 겸손할 필요 없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술과 시장만큼 팀의 역량도 매우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이 팀이 과연 이 사업을 성공시킬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해야 합니다.

  • 팀원들의 핵심 역량과 경력을 강조하라.
  • 단순한 자기소개가 아니라, 객관적인 성과를 기반으로 신뢰를 구축하라.

다만, 주관적인 자랑이 아니라 객관적인 성과와 근거를 제시하세요. 예를 들어, “구글에서 5년간 프로젝트 리더로 일하며 매출을 20% 성장시킨 경험이 있다"거나 “정부 지원 사업에서 높은 점수로 선정되어 해외 전시회에서 수주를 기록했다"와 같은 객관적인 성과를 강조해야 합니다.

팀의 강점이 곧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주는 요소이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어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IR 슬라이드 구성과 시간 배분 - 원 슬라이드, 원 메시지

IR 피칭 때 흔히 보는 실수 중 하나는, 문제와 솔루션, 시장까지 한 장의 슬라이드에 모두 담는 것입니다. 효과적인 IR 피칭을 위해서는 슬라이드 구성과 시간 배분이 필수적입니다.

  • 한 장의 슬라이드에는 하나의 핵심 메시지만 포함 (One Slide, One Message)
  • 발표 시간에 맞춰 슬라이드 개수를 조정 (5분 발표 → 15장 내외, 7분 발표 → 20장 내외)
  • 청중이 내용을 이해할 시간을 확보 (빠르게 넘기는 것보다 핵심 메시지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

슬라이드를 구성할 때 ‘결론형 제목’을 활용하면, 발표 중 핵심 내용을 놓치지 않고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6. 피칭 - 대표님이 주인공이 되는 시간

IR 피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PPT가 아니라 발표자의 존재감입니다. 많은 대표자가 화면을 읽는데 집중하지만, IR은 단순한 발표가 아니라, 투자자를 설득하는 무대라는 점이 잊지 마셔야합니다.

PPT는 보조 도구일 뿐이며, 대표자의 얼굴, 목소리, 눈빛을 통해 핵심 메시지를 직접 말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팁을 드리자면, 슬라이드 제목을 결론형으로 작성하면 피칭 중 자연스러운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시장은 연 20%씩 성장하고 있습니다.”와 같이 제목을 설정하면, 발표 도중 말이 막히더라도 제목을 참고해 핵심 내용을 다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짧은 IR 시간 동안 대표님이 중심이 되는 무대를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눈을 맞추며 이야기하라.
  • PPT를 읽지 말고, 핵심 메시지를 직접 전달하라.
  • 자신감 있는 목소리와 논리적인 흐름이 핵심이다.

맺음말

대표님만큼 자신의 사업을 깊이 이해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IR은 매번 새로운 도전이며, 때로는 긴장되는 순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IR은 단순한 자료 발표가 아닌, 투자자를 설득하는 과정입니다.

투자자가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단 하나입니다.

“이 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논리적인 흐름을 구성하고, 자신감을 가지고 전달한다면, 대표님의 IR은 정보 전달을 넘어, 투자자가 확신을 갖고 ‘이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리도록 만드는 과정이 될 것입니다.

기업 성장에 힘이 될 콘텐츠를 매주 받아보세요!

구독하기
* 본 웹사이트는 코드박스를 소개하고 코드박스가 취급하는 서비스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법률적 자문이나 해석을 위해 제공된 것이 아닙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과 관련하여 본 웹사이트의 접속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일체의 직ㆍ간접적 손해에 대하여 코드박스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아니하며,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에만 기초하여 어떠한 행위를 하는 것은 법률적 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므로,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의문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들은 코드박스의 사전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도 재생, 복사, 배포될 수 없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회사 등록 후 최신 법인등기부등본 무료 발급

빠르고 정확하게 업무 부담을 줄여드릴게요!
기업 성장에 모든 시간을 쏟으세요

프로필

김나라(UPRIGHT CONSULTING 대표)

5년 이상 IBK창공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멘토 및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사업 모델 개선, 글로벌 진출을 지원해왔습니다. 또한, 국내외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과 멘토링을 제공하며, 창업가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전략과 네트워크를 제공합니다.

에디터 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