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유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투자 유치 프로세스 백서> 무료 다운로드

초기 스타트업 IR 플레이북 - Conclusion

작성일: 2024년 4월 17일
·
최근 수정일: 2024년 12월 27일
·
읽는데 걸리는 시간: 약 2분
프로필
김정수
린스프린트 대표
기업 성장에 힘이 될 콘텐츠를 빠르게 받아보세요!
#총보상 #투자유치 #주주총회 #법인운영
구독하기

지금까지 잠재 투자자 설득을 목적으로 한 IR Material에 어떤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담아야 할 지에 대해 정리해 왔다. 앞서 4~6편의 플레이북 콘텐츠를 잘 숙지한다면 비즈니스에 관한 내러티브, 넘버 그리고 그 밖에 강조할 포인트를 담아서 훨씬 더 매력적인 IR Material을 만들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1. Storytelling(Narrative) : 핵심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고객, 고객의 문제, 문제에 대한 해결책, 고객-제품 적합성, 제품-채널 적합성, 수익모델 등을 논리적으로 정리
  2. Growth Modeling(Numbers) : 비즈니스 모델을 작동됨에 따라 만들어 낼 다양한 지표들을 식별하고 이 중 밸류에이션 목표 달성 및 비즈니스 성장의 핵심 동인이 되는 지표들을 하나의 방정식으로 엮어 고객획득부터 수익창출까지 논리적으로 타당성을 갖춘 정량적 성장 모델 수립
  3. Remarkable Points : 핵심 비즈니스 성장 내러티브를 더욱 돋보이게 해 줄 시장, 팀, 미션-비전 정리

우리 비즈니스 모델이 스타트업 비즈니스에 아주 적합하고 위와 같이 체계적으로 IR Material을 잘 준비하면 무조건 VC로부터 투자를 유치할 수 있을까?

답은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지난 10년 전보다 훨씬 창업자들의 스타트업에 대한 의식과 수준이 향상되면서 이들이 만들어내는 내러티브와 그 IR Material의 수준도 점점 상향평준화되고 있다. 실제로 예비창업팀~초기 스타트업팀 레벨의 데모데이나 피칭 심사를 참여할 때 다양한 팀들의 비즈니스 모델 피칭을 보는데 예전에 비해 기본적인 구성이나 스토리라인 수준이 향상됐음을 느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 아이디어, 모델에 대한 아무런 이해관계가 없는 제삼자의 입장에서 봤을 때 큰 임팩트를 주는 피칭이나 사업계획서는 손에 꼽히는 것 같다. 그리고 그 이유에 대해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초기 스타트업 IR 플레이북

초기 창업자라면 IR 전략 수립 및 IR Material 작성에 관심이 있거나, 혹은 IR을 숙명처럼 준비하고 계실텐데요. 체계적으로 IR 전략 수립은 어떻게 가능할까요? 장기적 관점의 비전과 전략을 모두 담은 IR Material을 작성하려면 뭐부터 해야 할까요? 답이 될 수 있는 지식과 프레임워크를 정리해드려요.

기업 성장에 힘이 될 콘텐츠를 매주 받아보세요!

구독하기
* 본 웹사이트는 코드박스를 소개하고 코드박스가 취급하는 서비스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법률적 자문이나 해석을 위해 제공된 것이 아닙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과 관련하여 본 웹사이트의 접속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일체의 직ㆍ간접적 손해에 대하여 코드박스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아니하며,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에만 기초하여 어떠한 행위를 하는 것은 법률적 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므로,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의문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들은 코드박스의 사전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도 재생, 복사, 배포될 수 없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회사 등록 후 최신 법인등기부등본 무료 발급

빠르고 정확하게 업무 부담을 줄여드릴게요!
기업 성장에 모든 시간을 쏟으세요

프로필

김정수(린스프린트 대표)

액셀러레이터 및 사내벤처 운영부서를 대상으로 초기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투자 유치에 고민을 갖고 있는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IR Productized Service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김정수 대표 링크드인 / 린스프린트 블로그 링크

에디터 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