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공고는 꼭 해야 하나요?
작성일: 2021년 1월 1일
·
최근 수정일: 2024년 8월 1일
·
읽는데 걸리는 시간: 약 2분
기업 성장에 힘이 될 콘텐츠를 빠르게 받아보세요!
#총보상 #투자유치 #주주총회 #법인운영
왜 해야 하나요?
주식회사는 주주와 채권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공고의 의무가 있어요. 따라서 신주발행, 액면분할, 해산, 합병 등 회사의 주주와 채권자들이 꼭 알아야 하는 사항이 있을 경우 반드시 공고를 해야 해요.
어디에 해야 하나요?
신문이나 인터넷 홈페이지에 하실 수 있어요. 둘 중 등기부등본에 명시된 방법으로만 진행하셔야 법적 효력이 있어요. 등기부등본에 신문과 홈페이지 모두 나와 있다면, 둘 중 하나의 방법으로만 공고하시면 되어요.
- 관련 가이드: 신문 공고, 전자 공고 방법
공고를 반드시 해야 하는 안건
안건 | 언제부터 | 공고 유지 기간 |
---|---|---|
해산 | 해산일 기준 2개월 이내 |
|
액면분할 | 구주권 제출 기간 시작일 |
|
유상감자 | 결의일 기준 2주 이내 |
|
유상증자도 신주발행 공고가 원칙이지만, 주주 전원의 동의로 생략할 수 있어요!
주주총회 개최와 소집은 공고하지 않아도 되어요!
주주총회 개최와 소집에 대해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하는 회사도 있지만 비상장회사의 경우 공고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에요. 공고 없이 개별 주주 전원에게 소집통지서만 발송하셔도 되어요. 비상장회사의 경우 대부분 사전에 주주의 동의를 구한 뒤 메일로 소집통지서를 발송해요.
ZUZU에서 주주총회를 준비하면 간편하게 메일로 소집통지하실 수 있어요!
공고와 공시의 차이
공고 | 공시 | |
---|---|---|
내용 | 주식회사에서 주주와 채권자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외부에 공개하는 것 | 주식회사에서 재무제표 등 서류를 공공기관에 제출하여 일반 시민, 투자자들이 언제든 열람할 수 있게끔 하는 것 |
목적 | 주주와 채권자의 권리 보호 | 투자자 보호, 기업 회계 투명성의 제고 등 |
방법 | 홈페이지·신문을 통해 일시적으로 진행 | 전자공시시스템(DART) 등의 공공기관에 자료를 올려 진행 |
기업 성장에 힘이 될 콘텐츠를 매주 받아보세요!
구독하기
* 본 웹사이트는 코드박스를 소개하고 코드박스가 취급하는 서비스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법률적 자문이나 해석을 위해 제공된
것이 아닙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과 관련하여 본 웹사이트의 접속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일체의 직ㆍ간접적 손해에 대하여 코드박스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아니하며,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에만 기초하여 어떠한 행위를 하는
것은 법률적 위험을 수반할 수 있으므로,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의문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들은 코드박스의 사전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도 재생,
복사, 배포될 수 없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법률 상담 및 등기 대행, 세무 상담은 파트너사를 통해 진행되며 ZUZU는 어떠한 수수료도 취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