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투자조합 투자와 벤처기업 인증
작성일: 2021년 1월 1일
·
최근 수정일: 2025년 1월 13일
·
읽는데 걸리는 시간: 약 3분
기업 성장에 힘이 될 콘텐츠를 빠르게 받아보세요!
#총보상 #투자유치 #주주총회 #법인운영
개인투자조합 투자받으면 벤처기업 인증을 받을 수 있나요?
특정 조건을 갖춘 기업이 개인투자조합으로부터 5천만 원 이상 투자를 받으면 ‘벤처투자유형’으로 신청 가능해요.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하나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벤처기업인증을 받으려면 기업이 3가지 유형(벤처투자유형, 연구개발유형, 혁신성장유형) 중 하나에 속해야 하는데요. 벤처투자유형에 속하려면 아래 조건을 갖추어야 해요.
- 중소기업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 적격투자기관으로부터 유치한 투자금액 합계 5천만 원 이상 (주식회사가 발행한 주식, 무담보전환사채 또는 무담보신주인수권부사채를 인수하거나, 유한회사의 출자를 인수하는 것)
- 자본금 중 투자금액의 합계가 차지하는 비율 10% 이상
개인투자조합은 ‘적격투자기관’에 해당하기 때문에, 1번 조건에 해당하는 기업이 개인투자조합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2, 3번 조건까지 모두 충족하였다면 벤처투자 유형으로 벤처기업 인증을 신청할 수 있게 되어요. 벤처기업 인증이 뭔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 관련 가이드: 벤처기업 인증
벤처기업 인증을 받으면 뭐가 좋은가요?
기업 입장에서는, 벤처기업 인증을 받으면 세금을 비롯하여 금융, 상장, 광고 등의 분야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또한 기업이 개인투자조합에게 투자를 받아 벤처기업이 되면 개인투자조합도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개인투자조합이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투자 대상은 정해져 있는데요. 그중 하나가 바로 벤처기업이에요. 따라서 투자한 기업이 벤처기업이라면 투자한 금액에 대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관련 가이드: 개인투자조합 세제 혜택
잠깐!
간혹 벤처기업 인증을 받기 위해, 임의로 개인투자조합을 만들어서 투자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러한 정황이 발각되면 벤처기업 인증이 무효 처리될 수 있어요!
개인투자조합이 투자할 당시에는 벤처기업이 아니더라도, 이후 벤처기업 인증을 받으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건가요?
네 하지만 기한을 지켜야 해요. 투자일(법인등기부등본 변경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 안에 인증을 받아야 해요. 벤처기업인증을 받으면 이전에 투자한 내역에 대한 소득공제는 벤처기업인증완료 된 해 기준으로 3개년 이내에 선택하여 소득공제 받으실 수 있어요
개인투자조합이 해산할 경우, 개인투자조합 투자로 받은 벤처기업 인증도 무효처리가 되나요?
투자한 개인투자조합이 불가피한 사유로 해산했다고 해서 벤처기업인증 받은 것이 무효처리 되지는 않아요.
기업 성장에 힘이 될 콘텐츠를 매주 받아보세요!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