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

전환사채 리픽싱이란?

읽는데 약 2분 정도 걸려요!

잠깐! 전환사채가 뭔지 잘 모르시나요? 전환사채 가이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전환사채 리픽싱(Refixing)이 무엇인가요?

전환사채의 전환 가격이나 비율을 조정하는 걸 뜻해요. 조정 산식과 조정 사유는 전환사채 계약 과정에서 논의한 뒤 계약서와 등기부등본에 기재해요.  

언제 하나요?

보통 전환사채 발행 시점보다 회사의 주식 가치가 낮아졌을 때 해요. 무상증자, 액면분할·합병, 감자 등의 자본 변동이 발생했을 때, 그 비율을 고려하여 전환 가격이나 전환 비율을 조정하기도 해요.

왜 하나요?

계약서에서 정해놓은 주식 전환권에 대한 사채인수인의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서 해요. 전환사채는 일반 사채보다 이자율이 낮지만 주식전환권을 활용하면 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여 더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예를 들어 회사가 상장 예정일 경우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면 상장 이후 장내 매도를 통해 높은 수익률을 볼 수 있겠죠. 

그런데 사채를 발행한 뒤 사채 계약서에서 정한 전환가액보다 회사의 주식 가치가 하락하면 어떻게 될까요? 사채인수인 입장에서 계약서에서 정한 전환 가격으로 전환하게 되면 불리할 수 있어요. 따라서 계약서에 미리 전환 가격이나 비율을 하락한 주식 가치에 맞춰서 조정하는 ‘리픽싱’ 조항을 넣음으로써 사채인수인의 수익률을 보호하는 것이에요.

어떻게 하나요?

만약 리픽싱을 적용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계약서에서 정한 방식에 따라 전환사채 가격이나 비율을 조정해 주면 되어요. 계약서에 조정 후 사채권자에게 통지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면 조정 통지서까지 보내주셔야 해요. 조정 사항에 대해 별도로 등기는 하지 않아도 되어요!

리픽싱 예시

계약서 내용
본건 전환사채의 전환 전에 회사가 발행한 신주의 발행가액, 전환사채의 전환가액,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 행사가액이 그 당시 본건 전환사채의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경우, 본건 전환사채의 전환가액은 그 하회하는 가액으로 조정한다. 단,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신주 발행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상황 
  • 사채 계약 내용: 사채 발행액 1천만 원, 전환가격 1만 원
  • 이후 변동 상황: 회사가 투자 유치를 통해 1주의 발행가액 5천 원으로 유상증자 진행

이 경우, 신주인수권 행사가액이 전환가격보다 낮기 때문에 전환가격이 함께 조정되어야 해요.

기존전환 가격 조정 후
전환 주식 수전환가액전환 주식 수전환가액
1,000주10,000원2,000주5,000원
카카오톡 로고
아직 해결하지 못한 궁금증이 있다면?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물어보세요!
스타트업 투자, 경영 Talk 입장!
회사 등록 후 최신 법인등기부등본 무료 발급

잠깐만 써보셔도 차이를 아실 거예요
익숙한 불편함에서 벗어나세요

* 법률 상담 및 등기 대행, 세무 상담은 파트너사를 통해 진행되며 ZUZU는 어떠한 수수료도 취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