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

스톡옵션 부여 취소·철회하기

읽는데 약 4분 정도 걸려요!

스톡옵션 부여 취소와 철회는 뭐가 다른가요?

 

스톡옵션 부여 취소

스톡옵션 부여 철회

스톡옵션 계약 완료 여부

O

X

스톡옵션 부여 취소와 철회는 부여 결의 이후, 실제 계약의 진행 여부에 따라 구분되어요. 또한 스톡옵션 부여 취소는 이사회 혹은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진행해야 하고요. 스톡옵션 부여 철회는 별도의 결의가 필요하지 않아요. 

스톡옵션 부여 취소는 언제 가능한가요?

  •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사람이 본인의 의사로 사임한 경우
  •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사람이 고의 또는 실수로 회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힌 경우
  • 기타 스톡옵션 부여 계약서에 기재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스톡옵션 부여 후 취소, 법적 분쟁이 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스톡옵션 부여 취소

스톡옵션 부여 취소는 등기 사항이 아니라서 이사회 결의만 하면 끝나요. 이사회가 없다면 주주총회에서 결의하시면 되어요. 취소 건이 나올 때마다 이사회를 매번 소집하고 결의하면 번거로워요. 그래서 일자를 정해서 한꺼번에 부여 취소 결의하는 경우가 많아요. 보통 1년에 1번 혹은 상반기·하반기 등으로 나누어서 진행해요.

스톡옵션 부여 철회

스톡옵션 부여 철회는 스톡옵션 부여의 법적 계약 전, 부여 계획을 번복한 것이기 때문에 따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어요. 그만큼, 회사가 자율적으로 관리해야 해요. 예를 들어, 여러 명에게 스톡옵션 부여 결의를 했는데 일부 스톡옵션을 철회한다면, 철회한 수량을 파악해서 부여 가능 수량을 복구하는 등 꼼꼼히 챙겨야겠죠.

벤처기업이라면 스톡옵션 부여 취소·철회 후 꼭 중소기업청에 신고해야 해요. 벤처기업 스톡옵션 신고하기

스톡옵션 부여 취소·철회, 쉽게 관리하려면?

ZUZU에서는 스톡옵션 부여 취소 결의에 필요한 모든 서류를 만들 수 있어요. 스톡옵션 부여 철회도 스톡옵션 명부 페이지에서 클릭 한 번에 확실히 처리할 수 있고요. 각각 어떻게 진행하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ZUZU에서 스톡옵션 부여 취소 결의하기

1. 홈 화면에서 새로운 주주총회·이사회·등기를 클릭하세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10.png

2. 스톡옵션 부여 취소를 선택하세요.

3. ‘부여 취소할 스톡옵션 선택’ 버튼을 클릭하세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3.png

4. 스톡옵션 부여를 취소할 권리자를 선택 후 취소사유를 입력하신 뒤 추가 버튼을 눌러주세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4.png

5. 결의 일정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와요. 상법과 정관에 맞게 설정된 일정 그대로 두어도 되고, 수정하셔도 되어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5.png

6. ‘입력 완료’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6.png

7. 의결에 필요한 문서들이 간단하게 생성되었어요! 이사회(혹은 주주총회) 의사록을 클릭해 참석 및 의장, 찬성 인원을 입력해주세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7.png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8.png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9.png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10.png

8. 날인까지 완료된 이사회 의사록을 의결 반영 페이지에 업로드하신 뒤, ‘의결 반영’ 버튼을 클릭하시면 끝!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11.png

스톡옵션 부여 취소 후, 챙겨야 할 것

회사에서 직접 스톡옵션을 관리하면 부여 취소할 때마다 부여 가능 수량이 얼마나 복구됐는지, 어떤 권리자의 스톡옵션이 취소되었는지 담당자가 매번 관리해야 해서 번거로워요.

ZUZU에서 스톡옵션 자동 관리를 하면 따로 신경 쓸 필요가 없어요. 취소된 스톡옵션 수량만큼 부여 가능 수량이 자동으로 복구되고, 스톡옵션 부여 내역을 통해 부여 취소 기록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거든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withdrawal-2.jpg

ZUZU에서 스톡옵션 부여 철회하기

1. 홈 화면에서 ‘주주 관리’ → ‘스톡옵션’ 메뉴로 이동하세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withdrawal-3.jpg

2. 페이지를 밑으로 스크롤해, ‘진행 중인 스톡옵션 내역’에서 철회할 스톡옵션을 찾으세요. 

3. 철회할 스톡옵션의 우측 ‘…‘을 클릭하고, ‘부여 철회’ 버튼을 누르세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withdrawal-4.jpg

잠깐! ‘부여 철회’ 버튼이 안 보이시나요? 일반 문의를 남겨주세요. ZUZU 스태프가 회사 상황에 맞게 안내해 드릴게요.

4. ‘부여 철회’ 버튼을 누르면 철회할 스톡옵션이 정말 맞는지 묻는 창이 떠요. 확인 후, 부여 철회일을 설정하고 ‘부여 철회’ 버튼을 누르세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withdrawal-7.jpg

5. 부여 철회한 스톡옵션은 페이지 최하단의 ‘부여 철회 목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assets/images/guide/option-cancellation/option-cancellation-withdrawal-8.jpg

카카오톡 로고
아직 해결하지 못한 궁금증이 있다면?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물어보세요!
스타트업 투자, 경영 Talk 입장!
회사 등록 후 최신 법인등기부등본 무료 발급

잠깐만 써보셔도 차이를 아실 거예요
익숙한 불편함에서 벗어나세요

* 법률 상담 및 등기 대행, 세무 상담은 파트너사를 통해 진행되며 ZUZU는 어떠한 수수료도 취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