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
스톡옵션 부여 결의 방법
잠깐! 스톡옵션 규정 설정 하셨나요? 잘 모르시겠다면 스톡옵션 규정 설정하기 가이드를 먼저 읽어보세요.
스톡옵션 부여의 기본
스톡옵션을 행사하려면 상법상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최소 2년 이상 재직해야 해요. 부여받은 주식을 한번에 전량 행사할 수도 있지만, 스타트업에서는 기간을 정해 놓고 일정 비율로 나누어 단계별로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리프 베스팅(cliff vesting) 계약이 일반적이에요.
- 관련 가이드: 스톡옵션 베스팅
스톡옵션을 부여할 때 알아야 할 건 베스팅 뿐만이 아니에요. 부여받는 임직원뿐만 아니라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회사와 기존 주주,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연간행사 제한 횟수, 우선매수권 부여, 주식 처분의 제한 등 추가적인 장치들이 있어요.
스톡옵션 부여 과정
스톡옵션 부여는 크게 두 단계로 이루어져요.
주주총회에서 스톡옵션 부여 결의 → 권리자별 스톡옵션 계약서 작성
주주총회에서 입력하는 사항
입력 사항 | 설명 |
---|---|
계약일 | 스톡옵션 부여를 계약하는 날짜 |
자격취득기간 | 스톡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 기간 (상법에 따라 결의한 주주총회일로부터 최소 2년 이상) |
행사기간 | 스톡옵션 권리자가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기간과 조건 |
행사가액 | 권리자가 주식을 매수할 때 지불해야 하는 1주의 가격 |
권리자 정보 | 권리자의 이름, 주소, 자격, 부여수량, 부여자격 |
결의 후 스톡옵션 계약서에서 정하는 사항
스톡옵션 계약서를 작성할 때 행사 조건(베스팅)과 세부 조항을 정하실 수 있어요.
입력 사항 | 설명 |
---|---|
첫 행사 가능 비율/수량 | 처음 자격취득기간이 지났을 때 부여받은 스톡옵션 중 얼마나 행사할지 설정 |
행사 가능 비율이 늘어나는 시기 | 매년 또는 매월 주기로 설정 |
매월/매년 행사 가능 방법 | 매년 행사 가능 비율을 일정하게 또는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고, 매월 동일한 행사 가능 비율을 설정할 수도 있어요. |
물론 ZUZU에서는 클릭 몇번으로 아래 내용도 모두 계약서에 자동으로 입력해줘요!
ZUZU에서 스톡옵션 부여 준비하기
1. 스톡옵션 부여 안건을 선택해주세요.
2. 부여 가능한 스톡옵션 수량을 확인한 후, ‘권리자 추가’를 누르세요.
3. 권리자 정보와 계약일, 자격취득기간, 행사기간, 행사가액 등을 입력하세요.
자격취득기간 및 행사기간은 등기부등본에 관련 내용이 등기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값이 입력되어 있어요. 입력되어 있는 자격취득기간 및 행사기간을 준수하는 선에서 수정하실 수 있어요.
4. 입력을 다 하셨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게요. 주주전원서면결의 여부를 선택해주세요.
5. 스톡옵션 부여 결의 자체는 등기할 필요가 없어요. 의사록 업로드 후, ‘의결 반영’을 누르면 스톡옵션 부여 결의 끝!
이제 스톡옵션 계약서를 작성해볼까요? ZUZU 스톡옵션 계약서 작성 방법
* 법률 상담 및 등기 대행, 세무 상담은 파트너사를 통해 진행되며 ZUZU는 어떠한 수수료도 취하지 않습니다.
똑·똑·똑